世·솅宗조ᇰ御·ᅌᅥᆼ製졩訓·훈民민正·져ᇰ音ᅙᅳᆷ

製ᄂᆞᆫ 글 지ᅀᅳᆯ 씨니 御製ᄂᆞᆫ 님금 지ᅀᅳ샨 그리라 訓은 ᄀᆞᄅᆞ칠 씨오 民ᄋᆞᆫ 百姓이오 音은 소리니 訓民正音은 百姓 ᄀᆞᄅᆞ치시논 正ᄒᆞᆫ 소리라

國·귁之징語:ᅌᅥᆼ音ᅙᅳᆷ이 國ᄋᆞᆫ 나라히라 之ᄂᆞᆫ 입겨지라 語는 말ᄊᆞ미라 나랏말ᄊᆞ미

異·잉乎ᅘᅩᆼ中듀ᇰ國·귁ᄒᆞ야 異ᄂᆞᆫ 다ᄅᆞᆯ 씨라 乎ᄂᆞᆫ 아모그ᅌᅦ ᄒᆞ논 겨체 ᄡᅳ는 字ㅣ라 中國ᄋᆞᆫ 皇帝 겨신 나라히니 우리나랏 常談애 江南이라 ᄒᆞᄂᆞ니라 中듀ᇰ國귁에 달아

與:영文문字·ᄍᆞᆼ로 不·부ᇙ相샤ᇰ流류ᇢ通토ᇰᄒᆞᆯ·ᄊᆡ 與는 이와 뎌와 ᄒᆞᄂᆞᆫ 겨체 ᄡᅳᄂᆞᆫ 字ㅣ라 文은 글와리라 不은 아니 ᄒᆞ논 ᄠᅳ디라 相ᄋᆞᆫ 서르 ᄒᆞ논 ᄠᅳ디라 流通ᄋᆞᆫ 흘러 ᄉᆞᄆᆞᄎᆞᆯ 씨라 文문字ᄍᆞᆼ와로 서르 ᄉᆞᄆᆞᆺ디 아니ᄒᆞᆯᄊᆡ

故·공·로 愚ᅌᅮᆼ民민·이 有:우ᇢ所:송欲·욕言ᅌᅥᆫ·ᄒᆞ야·도 故ᄂᆞᆫ 젼ᄎᆡ라 愚는 어릴 씨라 有는 이실 씨라 所ᄂᆞᆫ 배라 欲ᄋᆞᆫ ᄒᆞ고져 ᄒᆞᆯ 씨라 言은 니를 씨라 이런 젼ᄎᆞ로 어린 百ᄇᆡᆨ姓셔ᇰ이 니르고져 호ᇙ배 이셔도

而ᅀᅵᆼ終쥬ᇰ不·부ᇙ得·득伸신其끵情·쪄ᇰ者:쟝ㅣ 多당矣:ᅌᅴᆼ·라 而ᄂᆞᆫ 입겨지라 終은 ᄆᆞᄎᆞ미라 得은 시를 씨라 伸ᄋᆞᆫ 펼 씨라 其ᄂᆞᆫ 제라 情은 ᄠᅳ디라 者ᄂᆞᆫ 노미라 多ᄂᆞᆫ 할 씨라 矣ᄂᆞᆫ 말 ᄆᆞᆺᄂᆞᆫ 입겨지라 ᄆᆞᄎᆞᆷ내 제 ᄠᅳ들 시러 펴디 몯ᄒᆞᇙ 노미 하니라

予영ㅣ 爲·윙此:ᄎᆞᆼ憫:민然ᅀᅧᆫ·ᄒᆞ·야 予는 내 ᄒᆞᅀᆞᆸ시논 ᄠᅳ디시니라 此ᄂᆞᆫ 이라 憫然은 어엿비 너기실 씨라 내 이ᄅᆞᆯ 爲윙ᄒᆞ야 어엿비 너겨

新신制·졩二·ᅀᅵᆼ十·씹八·바ᇙ字·ᄍᆞᆼ·ᄒᆞ노·니 新ᄋᆞᆫ 새라 制ᄂᆞᆫ ᄆᆡᇰᄀᆞᄅᆞ실 씨라 二十八ᄋᆞᆫ 스믈여들비라 새로 스믈여듧 字ᄍᆞᆼᄅᆞᆯ ᄆᆡᇰᄀᆞ노니

欲·욕使:ᄉᆞᆼ人ᅀᅵᆫ人ᅀᅵᆫ·ᄋᆞ·로 易·잉習·씹·ᄒᆞ·야 便뼌於ᅙᅥᆼ日·ᅀᅵᇙ用·요ᇰ耳:ᅀᅵᆼ니·라 使ᄂᆞᆫ ᄒᆡᅇᅧ ᄒᆞ논 마리라 人ᄋᆞᆫ 사ᄅᆞ미라 易ᄂᆞᆫ 쉬ᄫᅳᆯ 씨라 習ᄋᆞᆫ 니길 씨라 便은 便安ᄒᆞᆯ 씨라 於는 아모그ᅌᅦ ᄒᆞ논 겨체 ᄡᅳ는 字ㅣ라 日ᄋᆞᆫ 나리라 用ᄋᆞᆫ ᄡᅳᆯ 씨라 耳ᄂᆞᆫ ᄯᆞᄅᆞ미라 ᄒᆞ논 ᄠᅳ디라 사ᄅᆞᆷ마다 ᄒᆡᅇᅧ 수ᄫᅵ 니겨 날로 ᄡᅮ메 便뼌安ᅙᅡᆫ킈 ᄒᆞ고져 ᄒᆞᇙ ᄯᆞᄅᆞ미니라

ᄀᅠ·ᄂᆞᆫ 牙ᅌᅡᆼ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君군ㄷ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 竝·뼈ᇰ書셩ᄒᆞ·면 如ᅀᅧᆼ 虯뀨ᇢㅸ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牙ᄂᆞᆫ 어미라 如는 ᄀᆞᄐᆞᆯ 씨라 初發聲은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라 並書는 ᄀᆞᆯᄫᅡ 쓸 씨라 ㄱᄂᆞᆫ 엄쏘리니 君군ㄷ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 ᄀᆞᆯᄫᅡ쓰면 虯뀨ᇢㅸ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ᄏᅠ·ᄂᆞᆫ 牙ᅌᅡᆼ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快·쾡ᅙᅠ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ㅋᄂᆞᆫ 엄쏘리니 快쾡ㆆ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ᅌᅠ·ᄂᆞᆫ 牙ᅌᅡᆼ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業·ᅌᅥᆸ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ㆁᄂᆞᆫ 엄쏘리니 業ᅌᅥᆸ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ᄃᅠᄂᆞᆫ 舌·쎠ᇙ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斗:두ᇢㅸ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 竝·뼈ᇰ書셩ᄒᆞ·면 如ᅀᅧᆼ 覃땀ㅂ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舌은 혜라 ㄷᄂᆞᆫ 혀쏘리니 斗두ᇢㅸ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 ᄀᆞᆯᄫᅡ쓰면 覃땀ㅂ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ᄐᅠᄂᆞᆫ 舌·쎠ᇙ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呑ᄐᆞᆫㄷ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ㅌᄂᆞᆫ 혀쏘리니 呑ᄐᆞᆫㄷ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ᄂᅠᄂᆞᆫ 舌·쎠ᇙ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那낭ᅙᅠ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ㄴᄂᆞᆫ 혀쏘리니 那낭ㆆ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ᄇᅠᄂᆞᆫ 脣쓘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彆·벼ᇙ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 竝·뼈ᇰ書셩ᄒᆞ·면 如ᅀᅧᆼ 步·뽕ㆆ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脣은 입시우리라 ㅂᄂᆞᆫ 입시울쏘리니 彆벼ᇙ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 ᄀᆞᆯᄫᅡ쓰면 步뽕ㆆ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ᄑᅠᄂᆞᆫ 脣쓘 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漂표ᇢㅸ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ㅍᄂᆞᆫ 입시울쏘리니 漂표ᇢㅸ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ᄆᅠᄂᆞᆫ 脣쓘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彌밍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ㅁᄂᆞᆫ 입시울쏘리니 彌밍ㆆ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ᄌᅠᄂᆞᆫ 齒:칭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卽·즉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 竝·뼈ᇰ書셩ᄒᆞ·면 如ᅀᅧᆼ 慈ᄍᆞᆼᅙᅠ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齒ᄂᆞᆫ 니라 ㅈᄂᆞᆫ 니쏘리니 卽즉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 ᄀᆞᆯᄫᅡ쓰면 慈ᄍᆞᆼㆆ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ᄎᅠᄂᆞᆫ 齒:칭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侵침ㅂ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ㅊᄂᆞᆫ 니쏘리니 侵침ㅂ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ᄉᅠᄂᆞᆫ 齒:칭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戌·슈ᇙ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 竝·뼈ᇰ書셩ᄒᆞ·면 如ᅀᅧᆼ 邪썅ᅙᅠ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ㅅᄂᆞᆫ 니쏘리니 戌슈ᇙ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 ᄀᆞᆯᄫᅡ쓰면 邪썅ㆆ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ᅙᅠᄂᆞᆫ 喉ᅘᅮᇢ 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挹·ᅙᅳᆸ 字·ᄍᆞᆼ 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喉는 모기라 ㆆᄂᆞᆫ 목소리니 挹ᅙᅳᆸ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ᄒᅠᄂᆞᆫ 喉ᅘᅮᇢ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虛헝ᅙᅠ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 竝·뼈ᇰ書셩ᄒᆞ·면 如ᅀᅧᆼ 洪ᅘᅩᇰ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ㅎᄂᆞᆫ 목소리니 虛헝ㆆ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 ᄀᆞᆯᄫᅡ쓰면 洪ᅘᅩᆼㄱ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ᄋᅠᄂᆞᆫ 喉ᅘᅮᇢ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欲·욕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ㅇᄂᆞᆫ 목소리니 欲욕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ᄅᅠᄂᆞᆫ 半·반舌·쎠ᇙ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閭령ᅙᅠ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ㄹᄂᆞᆫ 半반혀쏘리니 閭령ㆆ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ᅀᅠᄂᆞᆫ 半·반齒:칭音ᅙᅳᆷ·이·니 如ᅀᅧᆼ 穰ᅀᅣᇰㄱ 字·ᄍᆞᆼ 初총 發·버ᇙ 聲셔ᇰᄒᆞ·니·라 ㅿᄂᆞᆫ 半반니쏘리니 穰ᅀᅣᆼㄱ 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ㆍᄂᆞᆫ 如ᅀᅧᆼ 呑ᄐᆞᆫㄷ 字·ᄍᆞᆼ 中듀ᇰ 聲셔ᇰᄒᆞ·니·라 中은 가온ᄃᆡ라 ㆍᄂᆞᆫ 呑ᄐᆞᆫㄷ 字ᄍᆞᆼ 가온ᄃᆡᆺ소리 ᄀᆞᄐᆞ니라

ㅡ는 如ᅀᅧᆼ 卽·즉 字·ᄍᆞᆼ 中듀ᇰ 聲셔ᇰᄒᆞ·니·라 ㅡ는 卽즉 字ᄍᆞᆼ 가온ᄃᆡᆺ소리 ᄀᆞᄐᆞ니라

ㅣᄂᆞᆫ 如ᅀᅧᆼ 侵침ㅂ 字·ᄍᆞᆼ 中듀ᇰ 聲셔ᇰᄒᆞ·니·라 ㅣᄂᆞᆫ 侵침ㅂ 字ᄍᆞᆼ 가온ᄃᆡᆺ소리 ᄀᆞᄐᆞ니라

ㅗᄂᆞᆫ 如ᅀᅧᆼ 洪ᅘᅩᇰㄱ 字·ᄍᆞᆼ 中듀ᇰ 聲셔ᇰᄒᆞ·니·라 ㅗᄂᆞᆫ 洪ᅘᅩᆼㄱ 字ᄍᆞᆼ 가온ᄃᆡᆺ소리 ᄀᆞᄐᆞ니라

ㅏᄂᆞᆫ 如ᅀᅧᆼ 覃땀ㅂ 字·ᄍᆞᆼ 中듀ᇰ 聲셔ᇰᄒᆞ·니·라 ㅏᄂᆞᆫ 覃땀ㅂ 字ᄍᆞᆼ 가온ᄃᆡᆺ소리 ᄀᆞᄐᆞ니라

ㅜ는 如ᅀᅧᆼ 君군ㄷ 字·ᄍᆞᆼ 中듀ᇰ 聲셔ᇰᄒᆞ·니·라 ㅜ는 君군ㄷ 字ᄍᆞᆼ 가온ᄃᆡᆺ소리 ᄀᆞᄐᆞ니라

ㅓ는 如ᅀᅧᆼ 業·ᅌᅥᆸ 字·ᄍᆞᆼ 中듀ᇰ 聲셔ᇰᄒᆞ·니·라 ㅓ는 業ᅌᅥᆸ 字ᄍᆞᆼ 가온ᄃᆡᆺ소리 ᄀᆞᄐᆞ니라

ㅛᄂᆞᆫ 如ᅀᅧᆼ 欲·욕 字·ᄍᆞᆼ 中듀ᇰ 聲셔ᇰᄒᆞ·니·라 ㅛᄂᆞᆫ 欲욕 字ᄍᆞᆼ 가온ᄃᆡᆺ소리 ᄀᆞᄐᆞ니라

ㅑᄂᆞᆫ 如ᅀᅧᆼ 穰ᅀᅣᇰㄱ 字·ᄍᆞᆼ 中듀ᇰ 聲셔ᇰᄒᆞ·니·라 ㅑᄂᆞᆫ 穰ᅀᅣᆼㄱ 字ᄍᆞᆼ 가온ᄃᆡᆺ소리 ᄀᆞᄐᆞ니라

ㅠ는 如ᅀᅧᆼ 戌·슈ᇙ 字·ᄍᆞᆼ 中듀ᇰ 聲셔ᇰᄒᆞ·니·라 ㅠ는 戌슈ᇙ 字ᄍᆞᆼ 가온ᄃᆡᆺ소리 ᄀᆞᄐᆞ니라

ㅕ는 如ᅀᅧᆼ 彆·벼ᇙ 字·ᄍᆞᆼ 中듀ᇰ 聲셔ᇰᄒᆞ·니·라 ㅕ는 彆벼ᇙ 字ᄍᆞᆼ 가온ᄃᆡᆺ소리 ᄀᆞᄐᆞ니라

終쥬ᇰ聲셔ᇰ·은 復·뿌ᇢ 用·요ᇰ 初총 聲셔ᇰ·ᄒᆞ·ᄂᆞ니·라 復는 다시 ᄒᆞ논 ᄠᅳ디 라 乃냉終쥬ᇰㄱ소리ᄂᆞᆫ 다시 첫소리ᄅᆞᆯ ᄡᅳᄂᆞ니라

ᄋᅠᄅᆞᆯ 連련書셩 脣쓘音ᅙᅳᆷ之징下:ᅘᅡᆼᄒᆞ·면 則·즉 爲윙脣쓘輕켜ᇰ音ᅙᅳᆷ·ᄒᆞ·ᄂᆞ니·라 連은 니ᅀᅳᆯ 씨라 下ᄂᆞᆫ 아래라 則은 아ᄆᆞ리 ᄒᆞ면 ᄒᆞᄂᆞᆫ 겨체 ᄡᅳᄂᆞᆫ 字ㅣ라 爲ᄂᆞᆫ ᄃᆞ욀 씨라 輕은 가ᄇᆡ야ᄫᆞᆯ 씨라 ㅇᄅᆞᆯ 입시울쏘리 아래 니ᅀᅥ 쓰면 입시울가ᄇᆡ야ᄫᆞᆫ소리 ᄃᆞ외ᄂᆞ니라

初총聲셔ᇰ을 合·ᅘᅡᆸ用·요ᇰ·호ᇙ디면 則·즉 竝·뼈ᇰ書셩ᄒᆞ·라 終쥬ᇰ聲셔ᇰ·도 同또ᇰᄒᆞ·니·라 合ᄋᆞᆫ 어울 씨라 同ᄋᆞᆫ ᄒᆞᆫ가지라 ᄒᆞ논 ᄠᅳ디라 첫소리ᄅᆞᆯ 어울워 ᄡᅮᇙ디면 ᄀᆞᆯᄫᅡ쓰라 乃냉終쥬ᇰㄱ소리도 ᄒᆞᆫ가지라

ㆍ ㅡ ㅗ ㅜ ㅛ ㅠ·란 附·뿡書셩 初총聲셔ᇰ之징下:ᅘᅡᆼᄒᆞ고 附는 브틀 씨라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와란 첫소리 아래 브텨 쓰고

ㅣ ㅏ ㅓ ㅑ ㅕ ·란 附·뿡書셩 於ᅙᅥᆼ右:우ᇢᄒᆞ·라 右는 올ᄒᆞᆫ 녀기라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와란 올ᄒᆞᆫ 녀긔 브텨 쓰라

凡뻠字·ᄍᆞᆼㅣ 必·비ᇙ合·ᅘᅡᆸ而ᅀᅵᆼ成쎵音ᅙᅳᆷ·ᄒᆞᄂᆞ·니 凡은 믈읫 ᄒᆞ논 ᄠᅳ디라 必ᄋᆞᆫ 모로매 ᄒᆞ논 ᄠᅳ디라 成은 일 씨라 믈읫 字ᄍᆞᆼㅣ 모로매 어우러ᅀᅡ 소리 이ᄂᆞ니

左:장加강一·ᅙᅵᇙ點:뎜ᄒᆞ·면 則·즉去·컹聲셔ᇰ·이·오 左ᄂᆞᆫ 왼녀기라 加ᄂᆞᆫ 더을 씨라 一ᄋᆞᆫ ᄒᆞ나히라 去聲은 ᄆᆞᆺ노ᄑᆞᆫ 소리라 왼녀긔 ᄒᆞᆫ 點뎜을 더으면 ᄆᆞᆺ노ᄑᆞᆫ소리오

二·ᅀᅵᆼ 則·즉 上:쌰ᇰ聲셔ᇰ·이·오 二ᄂᆞᆫ 둘히라 上聲은 처ᅀᅥ미 ᄂᆞᆺ갑고 乃終이 노ᄑᆞᆫ 소리라 點뎜이 둘히면 上쌰ᇰ聲셔ᇰ이오

無뭉 則·즉 平뼈ᇰ聲셔ᇰ·이·오 無는 업슬 씨라 平聲은 ᄆᆞᆺᄂᆞᆺ가ᄫᆞᆫ 소리라 點이 업스면 平聲이오

入·ᅀᅵᆸ聲셔ᇰ·은 加강點:뎜·이 同또ᇰ而ᅀᅵᆼ促·쵹急·급ᄒᆞ·니·라 入聲은 ᄲᆞᆯ리 긋ᄃᆞᆮᄂᆞᆫ 소리라 促急은 ᄲᆞᄅᆞᆯ 씨라 入ᅀᅵᆸ聲셔ᇰ은 點뎜 더우믄 ᄒᆞᆫ가지로ᄃᆡ ᄲᆞᄅᆞ니라

漢·한音ᅙᅳᆷ齒:칭聲셔ᇰ은 有:우ᇢ齒:칭頭뚜ᇢ正·져ᇰ齒:칭之징別·벼ᇙᄒᆞ·니 漢音은 中國 소리라 頭는 머리라 別은 ᄀᆞᆯᄒᆡᆯ 씨라 中듀ᇰ國귁 소리옛 니쏘리ᄂᆞᆫ 齒칭頭뚜ᇢ와 正져ᇰ齒칭왜 ᄀᆞᆯᄒᆡ요미 잇ᄂᆞ니

ᅎᅠ ᅔᅠ ᅏᅠ ᄼᅠ ᄽᅠ 字·ᄍᆞᆼᄂᆞᆫ 用·요ᇰ於ᅙᅥᆼ齒:칭頭뚜ᇢᄒᆞ고 이 소리ᄂᆞᆫ 우리나랏 소리예셔 열ᄫᅳ니 혓 그티 웃닛머리예 다ᄔᆞ니라 ᅎᅠ ᅔᅠ ᅏᅠ ᄼᅠ ᄽᅠ 字ᄍᆞᆼᄂᆞᆫ 齒칭頭뚜ᇢㅅ소리예 ᄡᅳ고

ᅐᅠ ᅕᅠ ᅑᅠ ᄾᅠ ᄿᅠ 字·ᄍᆞᆼᄂᆞᆫ 用·요ᇰ於ᅙᅥᆼ正·져ᇰ齒:칭·ᄒᆞᄂᆞ·니 이 소리ᄂᆞᆫ 우리나랏 소리예셔 두터ᄫᅳ니 혓 그티 아랫 닛므유메 다ᄔᆞ니라 ᅐᅠ ᅕᅠ ᅑᅠ ᄾᅠ ᄿᅠ 字ᄌᆞᆼᄂᆞᆫ 正져ᇰ齒칭ㅅ소리예 ᄡᅳᄂᆞ니

牙ᅌᅡᆼ舌·쎠ᇙ脣슌喉ᅘᅮᇢ之징字·ᄍᆞᆼᄂᆞᆫ 通토ᇰ用·요ᇰ於ᅙᅥᆼ漢·한音ᅙᅳᆷ·ᄒᆞ·ᄂᆞ니·라 엄과 혀와 입시울와 목소리옛 字ᄍᆞᆼᄂᆞᆫ 中듀ᇰ國귁 소리예 通토ᇰ히 ᄡᅳᄂᆞ니라

訓훈民민正져ᇰ音ᅙᅳᆷ